2014년 4월 30일 수요일

2014-08: To improve our English fluency

Introduction: It's already over two months since I joined this club. As a a.k.a active member :-), I would like to contribute anything I can do with some essays. First topic is about improving English fluencies with some systematic approach.

1. Speaking new words

Reflecting myself I'm a bit shame on me because during discussion, only several words and familliar topics would be spoken. If I try to talk about in detail, I have some murmurs and cannot continue to talk because appropriate words are only at the tip of the tongue :-)

When I studied English quite hard at long long time ago, before each day classes, I had prepared some words and phrases to talk and gave a best shot to USE them all as many as I can during the talking sessions. It was quite good for me. Hard words are more cost-effective.

2. Keeping a diary

It's very mundane tips but all the time it's poweful. This essay is also corresponding with my personal purpose. My aim is to write and publish one a week whatever small one.

For Korean language, I did writing some articles and got some positive feedbacks.

Please don't worry about writing and sharing personal feelings and such-such things in English. According to my experiences Quantitiy makes improvement of Quality :-) Feedbacks would be helpful for English and your life.

Writing something is a good habit because it takes a lot to get used to.

3. Reduce Korean

We are all Korean so it's much easier to communicate if our words are difficult to be talked immediately. But it's not very useful for our English fluency in the long term.

I know this bulletin board is for noticing next class and topics but only several essays could be stored without threatening the original purpose for this notice board.

I hope this makes you helpful :-)

About reducing Korean is only for my private opinion. Don't get me wrong.

2014.5.1 by Mike

2014년 4월 20일 일요일

2014-07: 우주변화의 원리를 읽고

들어가는 글: 2001년에 제목도 무시무시한 '우주변화의 원리'라는 책을 샀습니다. 충동적으로 구매하였으나 20여 페이지를 읽어보고는 이내 덮었지요. 13년이 지난 오늘에야 일회독 할 수 있었습니다.

0. 우주변화의 원리라는 책은.. 

한의사이자 동양철학계에서 유명한 분이라고 합니다. 저자 한동석 선생은 1911년 생으로 책이 출간된 것은 1966년입니다.



"본서는 단순한 음양오행 개론서가 아니며, 학리를 따지는 학술서가 결코 아니다. 본서는 그 동안 한의학도들이 인체 생리학을 배우는 음양오행 개론서로 주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는 마치 사과하나를 깍기 위해 1미터가 넘는 보검을 빼내 휘두르는 것과 같이 본서의 올바른 가치를 제대로 보지 못한 것이다(445p)" - 책을 발간하며中

띠용..역시나 무시무시합니다.


1. 동양철학이란 무엇일까? 


우리는 서양식 교육을 받고 자란 사람들입니다. 저또한 대학교에서는 공학(컴퓨터)도 배워보고 대학원에서는 사회과학(경영정보학)도 전공하였기 때문에 아무래도 학문은 과학이어야 한다는 것이 기본 생각이었습니다.

과학의 기본은 반증(falsify)가능해야 한다는 것이죠.

하지만.. 동양철학에서는..

"우주의 모든 변화는 운(運)과 기(氣)의 승부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149p)" 

그야말로 충격적입니다.

소위 말하는 기본 용어의 정의 및 관계가 전혀 실생활에서 와닿지 않습니다. 물론 서양 철학도 마찬가지이겠습니다만..적어도 그런 것들은 중고등학교때 혹은 대학교 교양시간에 기본 용어라도 접해봤으니 조금은 감이 오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운..이라뇨? 기..라뇨?

동양철학의 중요한 전제가 한가지 더 있습니다.

"동양의 문자는 그 자체가 이면성을 띄고 있다. 일면은 언어지만 일면으로 문자 자체가 철학인 것이다(51p)" 

사실 이것도 우리 상식에는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언어는 어떤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tool)이지요. 그것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가 알파벳(철자)이라는게 우리에게 상식입니다. 문자 자체가 철학이라니...

수(數)라는 것에 대해서도 독특한 생각이 전제가 됩니다.

"數라는 것은 일반적인 의미에서 보면 사물의 질량을 계산하며 측정하는 수단과 방법일 것이다. 그러나 이것을 철학적으로 고찰해보면 數는 '사물의 기미(機微)이며 또한 有와 無의 변화하는 象이며 단(單)과 다(多)의 운동현상'인 것이다(191p)"

정신없으시죠? @.@

저도 그렇습니다. 여기까지 해서 잠시 쉬었다 다시 시작하시죠.


2. 동양철학을 이해하는 방법 


동양철학을 손쉽게 이해하는 방법은 제 생각에는 바로 '밀당' 입니다. 시쳇말로 밀고 당기기 입니다. 남여 커플이 그들의 연인관계를 확인하고 지속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그들의 사랑을 확인하고 싶고..바로 그 방법이 밀당입니다.

밀당은 밀고 당기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미는 것은 양(陽)입니다. 기호로는 (+)를 나타내고 원자에서는 양성자 혹은 핵을 의미합니다. 양은 에너지가 분출하는 것이고 어떤 사물이 성장하는 것이고 그것의 응축된 에너지를 표현하는 것입니다.

당기기는 음(陰)입니다. 기호로는 (-)를 나타내고 원자에서는 전자를 의미합니다. 음은 에너지가 응축되는 것이고 어떤 사물이 성숙하고 나이들어가는 것이고 팽창되었던 에너지를 응고시키는 것입니다.

왜 이렇게 여러각도로 말씀을 드리냐..하면

옛날의 철학자들은 그것을 통해 "변화"의 정체를 알고 싶어했습니다.

자연을 관찰해보면 해가 뜨고 해가 집니다. 달이 뜨고 달이 집니다. 파도가 높아지고 파도가 낮아집니다. 이러한 밀고당기기를 통해 변화가 발생합니다.

변화는 밀당이다. 

위에서 표현했던 기미(機微)라는 단어도 매우 중요한 단어 입니다. 어떤 변화의 조짐을 알고자 하는 것이 동양철학의 핵심이고 소위 말해서 [주역]의 기본 목적입니다.

현재의 어떤 상태를 알고 있을 때.. 이것은 다음에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변화의 조짐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등에 대한 해답으로 동양철학..특히 주역이 발전되어 온 것입니다.


3. 음양 그리고 오행 


사실 이 책은 너무나도 많은 것을 다루고 있습니다. 저같이 동양철학의 초보자는 감히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폭넓은 사상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잠시 목록만 나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오행론 : 음양오행론의 발생과 본질
2. 오운론 : 오운의 대화작용
3. 육기론 : 육기의 대화작용과 구궁팔풍운동
4. 상 : 수상 , 괘상 , 물상
5. 토화작용
6. 인신상화론
7. 금화교역론

와우... 이런 것의 구체적인 내용은 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에게도 너무나 어려운 주제들입니다. 언젠가는 그 일부라도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현재 저의 수준은 음양..그리고 오행을 이해하는 데만도 충분히 빡십니다^^

우리같은 초보는 먼저 음양..그리고 오행을 먼저 이해해야 합니다.


최대한 현실에서 무엇이 양(+)이고 무엇이 음(-)인지..그리고 그러한 밀당을 통해 일상에서 어떻게 변화가 생겨나는지 관찰해보신다면..

그것만으로도 동양철학은 우리에게 충분히 실용적(practical)이라고 감히 단언해봅니다.

음양은 오행으로 분화되며,
오행은 목화토금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목(木)은 나무입니다. 위로 키가커지며 성장하는 나무를 상상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나무(tree) 그 자체는 아닙니다. 상징적인 기호입니다.

화(火)는 불입니다. 목이 위로 뻗는 작용이라면 화는 그것의 양의 기운이 팽창하는 느낌으로 생각해주시면 됩니다. 역시나 불(fire)가 아니며 상싱적인 기호입니다.

토(土)는 흙입니다. 대지는 모든 만물이 생성되는 어머니같은 존재이지요. 목화의 기운 그리고 금수의 기운은 어떤 편중된 기운이라면 토는 그것의 편중됨을 잡아주는 어머니같은 존재입니다. 토화작용(土化)을 통해 편중된 기운을 중화(中)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동양철학 서적에서 자주 언급되는 마디(節)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금(金)은 금속입니다. 금속은 어떤 것을 자를 때 쓰이는 것이지요? 팽창되었던 기운이 이제 함축되기 시작함을 의미합니다. 그 자체로는 아직 완벽하게 응축된 것은 아닙니다.

설명이 부족한 것 같아서 책을 인용해봅니다.

"金과 木은 그 성질이 정 반대다. 목은 이양(裏陽)이 표면으로 분산하려는 발전의 최초단계였지만 금은 표양이 다시 이면으로 잠복하려는 수장(收藏)의 최초 단계인 것이다(70p)" 

수(水)는 물입니다. 물은 생명의 근원이라고도 하지요. 목화를 통해서 팽창되었던 기운이 금을 거치며 응축되기 시작하여 수에 이르면 완전히 응축, 응고됨을 의미합니다.

"金氣는 표면을 수렴하는 일을 하였지만 천도는 水氣의 작용을 거친후에야라야 그 내부의 깊은 곳까지 응고하게 되는 것이다(72p)" 

위의 목화토금수는 일종의 기호로 변화의 단계라고 생각해주시면 좋을 듯 합니다.


4. 도대체 이 책에 대한 내용은 어디에 있나? 


책을 읽으면서 밑줄 그어 놓았던 몇개의 문장을 통해 책의 세부 내용을 전달해볼까 합니다.

"괘자(卦字)에는 징조라는 뜻이 있다. 모든 사물은 그것이 발생하거나 소멸하기전에 징조가 象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징조인 象을 포착하는 것이 바로 사물을 미연에 先知 先得하는 방법이며 또한 혜지인 것이다(182p)"

> 동양철학..특히 주역의 목적입니다.

** 음양 -> 오행 -> 팔괘.. 이것은 일단 알아두시면 나중에 좋습니다.

"변화라는 것은 상생과 상극으로 인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113p)"

> 변화에 대한 기본관입니다. 삼국지에서 "제갈량의 가장 큰 동지는 사마의였다"라는 말이 유명한데요..그것이 이와 비슷하지 않을까 합니다.

"인간은 마땅히 이와같은 자기와의 대화에 능통해야 한다(277p)"

"공자의 말씀중에 학문하는 방법으로 근취저신(자기 자체에서 관찰하는 것만큼 바른 길은 없다)와 원취저물(만물이 율동하는 모습을 모는데는 만물의 形에서 본다)라는 말이 있다(298p)"

> 근취저신과 원치저물은 꽤 여러책에서 나오는 듯 합니다. 상식으로 알아두시면 좋을 듯 합니다.


5. 결론 


책을 산지 13년만에 다 읽은 책.. 아직까지 대부분의 얘기는 무엇인지 이해를 할 수 없으나.. 무언가 깊은 의미를 담고 있는 책..

다 읽고나니 속이 좀 시원해진 것 같습니다. 저의 학문적 관심이 초반에는 공학(컴퓨터)에서 사회과학(경영학)으로.. 이제는 철학(동양철학)으로 옮겨지게 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이 난해한 서적은.. 큰 길잡이가 되는 듯 합니다.

다음은 동국대 정경학부의 황태연 교수가 저술한 "실증주역"이라는 책에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오늘 교보문고 갔다가 그 <상권>을 건져왔어요^^

난해한 것은 분명하지만..언젠가 기회가 되시면 한번 읽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감사합니다.

2014.4.20 @Home